cloud function -2- 클라우드 펑션 표기에는 1세대,2세대가 있어요.
1세대 (**반드시 /v1 표시 필요 2세대와 혼용사용시에)
const functions = require("firebase-functions/v1");
2세대
// explicitly import each trigger
const {onRequest} = require("firebase-functions/v2/https");
const {onDocumentCreated} = require("firebase-functions/v2/firestore");
.https => 로컬 firebase emulators:start 생성되는 임시 호스트로 이동하여 결과 확인
const functions = require('firebase-functions');
exports.rendomNumber = functions.https.onRequest((req,res) =>{
const number = "Hellow https:??";
res.send(number.toString());
});
.사용자 생성시 트리거 구현 (1세대 표현방법)
const functions = require('firebase-functions/v1');
exports.newUserSignup = functions.auth.user().onCreate((user) => {
console.log('user created', user.email, user.uid);
});
.사용자 생성후 그내용이 바로 firestore 기록 => 기록권한이있는 admin 지정함!
const functions = require('firebase-functions/v1');
const admin = require('firebase-admin');
admin.initializeApp();
exports.newUserSignup = functions.auth.user().onCreate((user) =>{
admin.firestore().collection('user').doc(user.uid).set({
email: user.email});
})
.문서 추가시에 1세대 표현 => createddoc 컬렉션 아래 도큐먼트 추가시..(docId) 로 표현 / (userId)
const functions = require('firebase-functions/v1');
//새문서가 생성될때 트리거 1세대표현
exports.createdoc = functions.firestore.document('createdoc/{docId}')
.onCreate((snap,context) => {
console.log('create doc...');
});
**주석문 작성시 주의 사항:
명령문 옆에 표기시에는 스페이스로 [한칸 띄우고 //(탭띄우고)글자표시]

'fire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FCM 에서 사용할 토큰을 구하는 방법입니다. (0) | 2025.06.30 |
|---|---|
| FCM 메세지 유형 /셋팅(firebase cloud messaging)중 앱에서 작성,fcm중계되어서 수신앱에 도착 (0) | 2025.06.26 |
| cloud function -1- 클라우드 펑션 활용 셋팅 절차입니다. 두가지가 있는데요. (0) | 2025.06.23 |
| firebase CRUD with flutter 파이어베스에 접근해서 추가,읽고,업데이트,삭제하는 방법입니다. (0) | 2025.06.21 |
| flutter + firebase [기본 셋팅절차] = firestore PROCESS SECOND. (0) | 2025.06.20 |